티벳 음식점이나 인도 음식점에 가면 먹을 수 있는 난은 담백해서 맛있지요.
아무것도 넣지 않은 그냥 밀가루 반죽일 뿐인데 넘 비싸게 받는 것 같아서 집에서 한번 만들어봤습니다.
화덕도 없고, 오븐도 없어서 그냥 후라이팬에 구웠는데 맛이 꽤 괜찮았답니다.
난하고 짜파티하고 헷갈렸는데 난은 이스트를 넣은 것이고, 짜파티는 이스트를 넣지 않아 발효되지 않은 빵으로 난이 약간 더 고급
으로 친다고 하네요.
* 재료 : 이스트 1작은술, 설탕 1/2작은술, 우유 1/2컵, 다목적 밀가루 1컵, 소금 1/2작은술, 버터 또는 식용유 1/2작은술
* 만드는 방법
1. 이스트와 설탕을 섞어 물을 부은 다음, 거품이 생길 때까지 둔다.
2. 밀가루에 소금을 섞어 체에 내린 뒤, 그릇 가운데 밀가루를 두고 가운데 구멍을 내서 이스트 섞은 것과 버터 또는 기름을 함께 붓
는다.
3. 이때 반죽의 정도에 따라 밀가루를 더해가며 부드럽게 반죽한다.
4. 반죽이 2배로 부풀어오를 때까지 1시간 가량 둔다.
5. 반죽은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곧바로 튀어오르는 정도면 된다.
6. 바닥에 밀가루를 뿌리고 방망이로 반죽을 밀어 길이 25㎝, 너비 5㎝ 가량의 나뭇잎 모양으로 만든다.
7. 기름을 바른 베이킹시트에 얹어서 화덕이나 오븐에 노릇노릇해질 때까지 굽는다.
8. 오븐의 온도는 200℃ 정도가 적당하다.
9. 여기에 두께를 도톰하게 하거나 부피를 늘리기 위하여 우유·요구르트·버터 등을 넣기도 한다.
10. 맛을 내기 위하여 고수·다진 양파·버터 등을 뿌려서 굽기도 하고, 속에 양고기·감자·마늘 등 다양한 재료를 넣은 것도 있다.
============================================================================================
반죽 : 소금물, 계란, 밀가루, 식용류 적당량
이렇게 하라는 사람도 있다.
아무것도 넣지 않은 그냥 밀가루 반죽일 뿐인데 넘 비싸게 받는 것 같아서 집에서 한번 만들어봤습니다.
화덕도 없고, 오븐도 없어서 그냥 후라이팬에 구웠는데 맛이 꽤 괜찮았답니다.
난하고 짜파티하고 헷갈렸는데 난은 이스트를 넣은 것이고, 짜파티는 이스트를 넣지 않아 발효되지 않은 빵으로 난이 약간 더 고급
으로 친다고 하네요.
* 재료 : 이스트 1작은술, 설탕 1/2작은술, 우유 1/2컵, 다목적 밀가루 1컵, 소금 1/2작은술, 버터 또는 식용유 1/2작은술
* 만드는 방법
1. 이스트와 설탕을 섞어 물을 부은 다음, 거품이 생길 때까지 둔다.
2. 밀가루에 소금을 섞어 체에 내린 뒤, 그릇 가운데 밀가루를 두고 가운데 구멍을 내서 이스트 섞은 것과 버터 또는 기름을 함께 붓
는다.
3. 이때 반죽의 정도에 따라 밀가루를 더해가며 부드럽게 반죽한다.
4. 반죽이 2배로 부풀어오를 때까지 1시간 가량 둔다.
5. 반죽은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곧바로 튀어오르는 정도면 된다.
6. 바닥에 밀가루를 뿌리고 방망이로 반죽을 밀어 길이 25㎝, 너비 5㎝ 가량의 나뭇잎 모양으로 만든다.
7. 기름을 바른 베이킹시트에 얹어서 화덕이나 오븐에 노릇노릇해질 때까지 굽는다.
8. 오븐의 온도는 200℃ 정도가 적당하다.
9. 여기에 두께를 도톰하게 하거나 부피를 늘리기 위하여 우유·요구르트·버터 등을 넣기도 한다.
10. 맛을 내기 위하여 고수·다진 양파·버터 등을 뿌려서 굽기도 하고, 속에 양고기·감자·마늘 등 다양한 재료를 넣은 것도 있다.
============================================================================================
반죽 : 소금물, 계란, 밀가루, 식용류 적당량
만두반죽이지요.
이걸 반죽하여 1mm ~2mm 정도로 얇게 밀고
센불에 달군 후라이팬에 불을 아주아주 약하게 줄이고
인내를 갖고 은근한 불에 구워낸답니다.
이렇게 하라는 사람도 있다.
'Da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찬양곡 하나 : 내 영혼 주 찬양하며 (0) | 2008.06.05 |
---|---|
플룻 배우기 - 두번째달 세번째 시간 (0) | 2008.06.04 |
플룻 배우기 - 두번째달 두번째 시간 (0) | 2008.05.30 |
플룻 배우기 - 둘째달 첫번째 시간 (0) | 2008.05.23 |
플룻 첫달의 마지막 (0) | 2008.05.21 |